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Cake로 배우는 영어 발음, 께끼와 케잌에 대한 고찰, cake의 발음, 고제윤 글자(새한글)

새한글-고제윤글의 원리

by 글퍼블릭 2023. 7. 14. 13:40

본문

 목 차
1. 아이스 케잌과 아이스 께끼
2. 일본식 영어 단어
3. Cake 발음

 1. 아이스케이크와 아이스 께끼

  지금은 쉽게 듣기 힘든 외래어 중의 하나가 '아이스 께끼'입니다. 한 여름 뜨거운 태양 아래에서 시원한 '얼음'은 때로는 더위를 식혀 주는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막대에 얼음을 얼린 형태를 부르던 '아이스께끼'는 ice와 cake가 합쳐진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이야 cake를 '께끼, 케키'라고 읽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cake를 '께끼'로 읽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막대에 얼음을 얼린 형태를 하드(hard, 단단한)'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지금도 이 용어는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원래의 명칭은 팝시클(popsicle, popcicle)입니다. 팝시클이라는 이름은 1900년대 초 Frank Epperson이라는 11세 소년의 발명에서 비롯됩니다. 이 소년이 우연한 기회에 소다와 물 그리고 막대를 컵에 둔 것이 딱딱한 얼음으로 변질된 모양을 바탕으로 특허를 출원하면서 등장하였습니다. 처음에는 Eppcicle과 같은 이름으로 사용되다가 이후에 Pop's sicle이라는 제품이름으로 사용되었고, 오늘날에는 popsicle, popcicle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Popsicle이라는 이름이 일종의 제품 이므로, 일반적인 형태의 이름으로는 icecake처럼 일본인들이 만든 영어 단어가 우리말에 들어와서, 일본인들의 발음을 흉내 낸 '아이스께끼'라는 이름으로 불린 것으로 보입니다.

2. 일본식 영어 단어

 일본인들이 만든 영어 단어 중에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경우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코스프레'와 같은 단어도 그중 하나입니다. 코스튬 Costume(복장, 전통복장)과 플레이(play)가 합쳐진 costume play의 일본식 발음이 '코스프레'입니다. 그 외에도 스킨십(skinship) 같은 일본인들이 만든 영어 단어가 있습니다.

 '아이스께끼' 역시 '코스프레'처럼 일본인들이 영어 단어를 조합하여, 일본식 영어 발음을 사용하고, 그것이 대중화되면서 영어 같은 느낌의 단어로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얼음을 의미하는 ice와 과자 혹은 케이크(cake)가 결합한 '아이스께끼'는 특유의 달달하면서도 시원한 느낌을 주었기에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고, 현재도 사랑받고 있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Cake 발음

 오늘은 cake의 영어 발음입니다.

 Cake를 발음기호를 사용하여 나타내면 [keit]입니다. 발음 기호를 한글 발음으로 표현하면 [ㅋ ㅔ ㅣ ㅋ]입니다. 알파벳 방식으로 발음과 소리를 표현하였습니다. 이 소리를 훈민정음 방식으로 표현하면 받침에 키읔이 표현됩니다. 훈민정음 방식의 표기는 소리 단위(분절음)로 표현합니다. 훈민정음 방식의 소리 단위는 모음을 하나의 소리 구성단위로 보는 것입니다. 모음 하나에 하나의 글자를 표현합니다.

 훈민정음 방식의 글자가 되는 원리는 모음을 중심으로 그 앞에 나오는 자음을 초성, 모음이 중성, 그리고 다시 자음이 종성입니다. 세 개의 소리 구조를 하늘의 글자, 땅의 글자, 사람의 글자로 표현합니다. 이 셋이 어울리는 상태가 완벽한 세 개의 극성(삼극)이 조화를 이루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하늘, 땅, 사람(천지인)이 조화를 이루어 사람의 호흡 과정에서 반복되는 것이 소리 표기의 본질로 본 것입니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 창제 서문에 해당하는 "세종어제훈민정음"에서 "솅종엉젱훈민정음"처럼 표현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초성, 중성, 종성의 세 개의 극(삼극)을 이루는 글자 표기입니다. 설령 소리가 나지 않고, 예를 들어 '세'에 이응 받침'이 '세'로 소리가 난다고 하더라도 그 아래에 소리 없는 '이응'을 표현했던 원리가, 하늘, 땅, 사람의 셋이 조화를 이루는 세상을 담고자 했던 것입니다.

 따라서 처럼 받침으로 키읔을 표현하는 방식이 훈민정음 방식의 소리 표기 원리가 되는 것입니다. 받침으로 사용되는 소리 표현이 훈민정음 방식의 독창적이며, 과학적 표기 원리입니다.

Cake의 발음 기호와 표현

 Cake이라는 소리를 일본어 방식으로  표기하면 [ ㅋ ㅔ ㅣ ㅋ]에서 일본어의 특성인 '자음+모음"의 단순 구조로 변화합니다. 이때 이중 모음인 [ㅔ ㅣ]에서 [ㅣ]가 탈락합니다. 그 결과로 일차 변환을 하면 [ㅋ ㅔ ㅋ]가 됩니다. 이제 이 구조를 자음과 모음으로 분류해 보면 [자음(Consonant) ㅋ+ 모음(Vowel) ㅔ 자음(Consonant)]의 구조가 됩니다. 일본어의 기본적 특성이 '자음+모음'이 하나의 소리를 형성하므로 [키읔+ㅔ 이 키읔]처럼 되어 키읔 소리의 모음 짝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일본어의 모음이 기본 모음 다섯 개인 '아, 에, 이, 오, 우' 중의 하나가 필요하게 됩니다. Cake에서 선택된 모음이 [ㅣ]입니다. 그 결과로 생겨난 발음이 [케키, 께끼]라는 소리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형성된 일본어의 영어 발음을 한글 영어로 표현한 것이 '께끼'가 됩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