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펜션과 연금 영어로, 펜션의 유래와 의미, pension, mortgage, 고제윤 글자(새한글)

새한글-고제윤글의 원리

by 글퍼블릭 2023. 7. 13. 14:17

본문

 목 차
1. 펜션(Pension)의 유래
2. '연금'관련 단어
3. Mortgage

1.  펜션(Pension)의 유래

 어떤 말은 시간이 흐르면서 그 의미가 변화되거나, 새로운 의미를 덧붙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영어 단어 중에서 'pension'도 그러한 사례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영어 단어 펜션(pension)을 검색하면 숙박 시설과 여행 관련 내용이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생활에서 '펜션'은 숙박시설과 관련되어 검색되지만, '연금'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Pension과 연금의 연관 관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1. 펜션과 연금

 우리 모두는 안전하고 평안한 노후를 꿈꿉니다. 직장에서 은퇴하고, 정년이 지난 시기에는 경제 활동을 왕성하게 하기가 어렵습니다. 우리나라처럼 급격한 노령화 사회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경제 활동을 하지 않고 노년을 안락하게 보낼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평균 수명이 길어지는 상황에서 준비되지 않는 노년을 맞이하는 상황은 두렵기까지 합니다. 특히 정년 이후의 마땅한 일자리가 준비되지 않는 상황에서 경제적 어려움은 가중되기 마련일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특정 직역군에서는 노후 연금이 든든한 경우가 있습니다. '연금'을 든든히 받을 수 있는 직종에서 근무하다 은퇴한 사람들만이 노년을 여유롭게 보낼 수 있다는 사실이 안타깝기도 합니다. 

2.  '연금'관련 단어 

 연금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펜션(pension)'이라는 단어의 유래는 1500년대 초반에 등장하는 용어입니다. 당시에는 '군인'과 같은 특수한 직종에 근무한 사람들이 은퇴 혹은 질병으로 인해 일을 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하기 위하여 시작되었습니다. 그로부터 100여 년이 흐른 후에 시골에 있던 집을 빌려주는 방법으로 사용되면서 '펜션'이라는 말이 '숙박시설'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되게 됩니다.

 은퇴 후와 경제적 위기를 처했을 때 대비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은퇴 이후의 불안한 삶에서 경제적 수단으로 '펜션'이 이용되었던 것입니다.

 이처럼 초기의 펜션이 숙박시설의 대여라는 점에서 시작되었지만, 이후 화폐경제가 등장하면서 오늘날의 '연금' 형태로 등장합니다. 화폐 경제 상황에서의 연금은 '펜션'과는 다른 제도적 특징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사적연금은  'annuity'로 불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국민연금공단에서는 '펜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공단"의 영어 이름이 National Pension Servic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초기의 주택을 숙박시설로 활용하면서 경제적 수익을 거두는 형태 역시 '펜션 pension'이라는 명칭으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Mortgage

 Pension의 초기 '주택 관련' 연금 제도도 있습니다. 자신이 소유한 주택을 담보로 매달 일정액의 소득을 보장받는 형태의 연금이 있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실시하고 있는 '주택연금'이 그것입니다. 주택연금에 대해서는 'mortgage'라는 단어로 일종의 '돈을 빌려 쓴다.'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내규에 따르면 자신이 살고 있는 주택을 담보로 제공하는 형태의 "담보주택"은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보증을 통해 주택연금을 대출받기 위해 한국주택금융공사 또는 채권자인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하는 주택을 말합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mortgage'라는 용어로 정의되고 있는 것입니다.

Mortgage의 고제윤 글자(새 한글) 표기의 원리와 방벙

  오늘은 연금 중에서 주택연금 형태의 mortgage의 발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영어 단어 mortgage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원래의 뜻은 mort(죽은, 소멸하는, 없어지는)과  gage(맹세, 약속)의 두 개의 의미가 합쳐져서 사용되는 용어였습니다. 돈을 빌린 사람과 빌려준 사람(단체) 사이에 만약에 빌린 돈을 갚지 못하면 권리가 소멸하는(mort) 약속(gage)이 된다는 의미이고, 반대로 빌린 돈을 다 갚으면 그 역시 소멸하는(mort) 약속(gage)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프랑스어에서 영어로 들어온 영향으로 mortgage는 '프랑스어 발음'의 특성을 지니고 있기도 합니다. 프랑스어 r발음이 우리말 히읗에 가깝다는 특성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프랑스어의 특성과 영어의 발음을 바탕으로 1995년 이래로 "고제윤 글자(새 한글)"에서 개발한 표기를 적용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의 글자에서는 받침으로 '히읗'을 사용하였습니다. 프랑스어의 '히읗'에 가까운 소리 특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관련글 더보기